반응형 알고리즘250 [백준][Python] 1094번 막대기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94 1094번: 막대기 지민이는 길이가 64cm인 막대를 가지고 있다. 어느 날, 그는 길이가 Xcm인 막대가 가지고 싶어졌다. 지민이는 원래 가지고 있던 막대를 더 작은 막대로 자른다음에, 풀로 붙여서 길이가 Xcm인 막대 www.acmicpc.net 코드 x = int(input()) s = [64] while 1: if sum(s) > x: num = s.pop() n = num // 2 if sum(s) + n >= x: s.append(n) else: s.append(n) s.append(n) if sum(s) == x: break print(len(s)) 2022. 10. 20. [백준][Python] 1026번 보물 1026번: 보물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A에 있는 N개의 수가 순서대로 주어지고, 셋째 줄에는 B에 있는 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.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, A와 B의 각 원소는 100보다 작거 www.acmicpc.net 코드 n = int(input()) a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b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a.sort() b.sort(reverse=True) ans = 0 for i,j in zip(a,b): ans += i*j print(ans) 2022. 10. 19. [백준][Python] 4673번 셀프 넘버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4673 4673번: 셀프 넘버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.R. Kaprekar가 이름 붙였다.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(n)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. 예를 들어, d(75) = 75+7+5 = 87이다.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, www.acmicpc.net 코드 num = set([i for i in range(1,10001)]) n_list = set() for i in range(1,10001): for j in str(i): i += int(j) n_list.add(i) ans = num - n_list ans = sorted(ans) for i in ans: print(i) 2022. 10. 18. [백준][Python] 2533번 사회망 서비스(SNS) 2533번: 사회망 서비스(SNS) 첫 번째 줄에는 친구 관계 트리의 정점 개수 N이 주어진다. 단, 2 ≤ N ≤ 1,000,000이며, 각 정점은 1부터 N까지 일련번호로 표현된다. 두 번째 줄부터 N-1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친구 관계 트리의 에 www.acmicpc.net 코드 import sys sys.setrecursionlimit(10**9) def dfs(node): visit[node] = 1 for i in graph[node]: if visit[i] == 0: dfs(i) dp[node][0] += min(dp[i][0],dp[i][1]) dp[node][1] += dp[i][0] n = int(input()) graph = [[] for _ in range(n+1)] dp = [[1.. 2022. 10. 17. 이전 1 ··· 17 18 19 20 21 22 23 ··· 63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