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알고리즘250 [백준][Python] 15681번 트리와 쿼리 15681번: 트리와 쿼리 트리의 정점의 수 N과 루트의 번호 R, 쿼리의 수 Q가 주어진다. (2 ≤ N ≤ 105, 1 ≤ R ≤ N, 1 ≤ Q ≤ 105) 이어 N-1줄에 걸쳐, U V의 형태로 트리에 속한 간선의 정보가 주어진다. (1 ≤ U, V ≤ N, U ≠ V) www.acmicpc.net 코드 import sys sys.setrecursionlimit(10**9) def tree(node,par): for i in graph[node]: if i != par: child[node].append(i) parent[i] = node tree(i,node) def count(node): size[node] = 1 for i in child[node]: count(i) size[node] +=.. 2022. 10. 14. [백준][Python] 11437번 LCA 11437번: LCA 첫째 줄에 노드의 개수 N이 주어지고, 다음 N-1개 줄에는 트리 상에서 연결된 두 정점이 주어진다. 그 다음 줄에는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알고싶은 쌍의 개수 M이 주어지고, 다음 M개 줄에는 정 www.acmicpc.net 코드 import sys sys.setrecursionlimit(100000) def dfs(num,dep): visit[num] = 1 d[num] = dep for i in tree[num]: if visit[i] == 1: continue par[i] = num dfs(i,dep+1) def parent(a,b): while d[a] != d[b]: if d[a] < d[b]: b = par[b] else: a = par[a] while a != b: .. 2022. 10. 13. [백준][Python] 5052번 전화번호 목록 5052번: 전화번호 목록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(1 ≤ t ≤ 50)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전화번호의 수 n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0000) 다음 n개의 줄에는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www.acmicpc.net 코드 import sys t = int(input()) for _ in range(t): n_list = [] flag = 0 n = int(input()) for _ in range(n): n_list.append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 n_list.sort() for i in range(n-1): if n_list[i+1][:len(n_list[i])] == n_list[i]: flag = -1 brea.. 2022. 10. 12. [백준][Python] 1967번 트리의 지름 1967번: 트리의 지름 파일의 첫 번째 줄은 노드의 개수 n(1 ≤ n ≤ 10,000)이다. 둘째 줄부터 n-1개의 줄에 각 간선에 대한 정보가 들어온다. 간선에 대한 정보는 세 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다. 첫 번째 정수는 간선이 연 www.acmicpc.net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dfs(a,l): queue = deque() queue.append((a,l)) while queue: a,l = queue.popleft() for na,nl in graph[a]: if distance[na] == -1: queue.append((na,nl)) distance[na] = distance[a]+nl return distance.index(.. 2022. 10. 11. 이전 1 ··· 18 19 20 21 22 23 24 ··· 63 다음 반응형